본문 바로가기

파이썬자료형3

[파이썬] 문자열 자료형 / 문자열 나누기(split), 공백 지우기(strip) 📌 문자열 나누기 문자열 . split ( ) split() 함수를 활용한다 괄호 안의 값을 구분자로 하여, 구분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눠준다 나눈 값들은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들어간다 a = 'Happy New Year' splitA = a.split() #공백을 기준으로 나눠줌 print(splitA) #['Happy', 'New', 'Year'] b = 'year:2023' splitB = b.split() print(splitB) #['year','2023'] 📌 문자열 공백 지우기 문자열 . strip ( ) 문자열 양쪽에 있는 공백을 모두 지운다 strip(’n’) ⇒ n과 동일한 문자는 제거한다 a = ' Hello ' stripA = a.strip() print(stripA) #'Hello.. 2023. 1. 10.
[파이썬] list 자료형 / 리스트 값 찾기( count ) 📌 List 값 찾기 리스트명 . count ( 찾고자 하는 값) count() 함수를 활용한다 찾고자 하는 값의 갯수를 반환하고, 존재하지 않으면 0을 반환한다 odd = [ 1, 3, 5, 7, 9 ] count = list.count(4) print(count) #0 2023. 1. 10.
[파이썬] list 자료형 / 리스트 자료형 개념, 리스트 인덱싱, 리스트 길이 구하기, 리스트 요소 추가하기, 리스트 뒤집기 📌 List 자료형 리스트명 = [ 요소1, 요소2, 요소3, ... ] 리스트를 만들 때 대괄호로 감싸주고, 쉼표로 요솟값을 구분해주면 된다. #비어있는 리스트 생성 a = list() a = [] #리스트 예시 odd = [ 1, 3, 5, 7, 9 ] mix = [ 2, 3, 'red', 'yellow'] 📌 List 인덱싱 리스트는 인덱싱을 적용할 수 있다. fruit = [ '사과', '딸기', '포도' ] fruit[0] #사과 fruit[1] #딸기 fruit[2] #포도 📌 List 요소 추가하기 리스트명 . append ( n ) append() 함수를 사용한다 append(n)은 리스트 맨 마지막에 n을 추가하는 함수이다 odd = [ 1, 3, 5, 7, 9 ] odd.append(1.. 2023. 1. 8.